수군 재건 로 12(군학-용산) 걷는다는 것은 자기의 성찰이다 수군 재건 로 11(군영 구미-용산) 통영은 이순신의 도시다. 태생이 한산도이며 400여 년을 충무공의 정신으로 나라를 지킨 남해안 관방이다. 통영을 알려면 이순신도 연결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한산도 제승당이 있으며, 충렬사도 있다. 눈으로, 머리로, 온몸으로 충무공을 알기 .. 통영/이순신 2019.01.10
통영충렬사 추계 향사의 절차 통영충렬사 추계 향사의 절차 (재)통영충렬사에서는 매년 춘추로 향사를 모시며 기신제와 탄신제 및 한산대첩 고유제를 지낸다. 추계 향사는 매년 음력 8월 중정일 에 전통 제향 홀기에 따라 엄숙하게 지낸다. 향사를 모시기 전에 총회를 소집하여 獻官(헌관)을 선임하며 제집사도 함께 선.. 통영/이순신 2018.09.24
추계제향홀기 전사관의 집례사례 1. 동제에 가서 옷을 갈아 입는다. 2. 신문 밖 서쪽에 선다. 3. 가장 먼저 “전사관입설진필” 하면 전사관은 사당으로 올라가 예를 표하고 우측 계단으로 오른발 먼저 다음 왼발을 모으고 다시 오른발, 왼발 순으로 오른다. 촛불을 밝히고 사당에 차려진 제물의 창호지.. 통영/이순신 2018.09.13
2018 한산대첩 기념 팸투어를 마치며 팸투어를 마치며 충무공의 도시 통영에서 한산대첩 기간에 이배사 회원을 초대하여 팸투어를 진행 했습니다. 한산대첩제전위원회에서 주관한 행사이므로 도울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어 아쉬웠습니다. 통영충렬사에서의 참배를 시작으로 문화원에서의 학술 세미나는 우리들의 잔치가 .. 통영/이순신 2018.08.13
고하도, 고금도 통제영 유적(2018 이배사 정규답사) 고하도 배경 명량해전을 치른 후 작전상 후퇴를 고군산 열도까지 한 이순신은 겨울을 나기 위하고 좀 더 적들과 가까운 곳에 주둔하기 위하여 고하도로 수군 진을 옮긴다. 초기 13척의 전선이 15척으로 늘어났으며 북서풍을 막아줄 적당한 장소가 고하도였다. 또한 나무가 많아 배를 모을 .. 통영/이순신 2018.06.27
2018 통영충렬사 춘계제향 典祀官:전사청에 속하여 국가의 제사(祭祀)에 관한 일을 맡아 보던 관직. 종묘(宗廟)나 사직(社稷) 등의 큰 제사가 있을 때에 시설물 설치, 제사 지내는 장소 청소, 제사 그릇 세척, 제사를 위한 물건 조달 등의 일을 관장하였다. 대한제국 때는 제사의 물건을 관장한 궁내부(宮內府)에 속하.. 통영/이순신 2018.04.07
이순신공세가 복사제본의 서문 회정 김기환 저(著) 이순신공세가 복사제본의 서문 정인섭 근기(謹記) 회정 김기환씨는 1876년 5월 1일 경상남도 통영군 산양면 도남리 451번지에서 출생, 27세 때 일본국에 유학하여 일본대학에서 4년간 공부했다. 이때는 대한민국의 시절이었으니, 그 당시 동경에 있던 한국학생들이 대한흥.. 통영/이순신 2017.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