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정론' 전파를 위한 워크숍 ‘이순신 정론‘ 전파를 위한 워크숍 순천향대학교 이순신 연구소에서는 이순 정론 확립을 위하여 많은 연구실적을 쌓고 연구논총을 발간했다. 이러한 연구 성과와 실적이 연구로만 그치는 경향이 있다. 실제 현장에 직접 뛰는 실무자들이 알아야 정론이 확립된다는 명재아래 워크숍을 .. 통영/이순신 2017.12.19
톡톡 이순신 명량 대첩지 톡톡 이순신 명량 대첩지 답사기 문화원에서 실시하는 톡톡 이순신 사업이 막바지로 접어들었다. 긴 추석 연휴를 이용하여 임란 명량대첩지인 진도와 해남 일대를 답사하기로 했다. 이번 코스에 정유재란 순절묘역과 삼별초의 흔적도 함께 둘러보는 코스다. 정유재란순절묘역은 언론으.. 통영/이순신 2017.10.18
(해로답사)바다를 지배하는 자 세계를 지배한다는 진리는 지금도 유효하다 우여곡절 끝에 해로답사가 진행된다는 통보를 받았다. 년 초에 이배사 통영지부의 사업으로 결정되어 진행된 해로답사가 국립공원의 지원사업과 문화원의 톡톡 이순신 사업과 겹쳐져 제대로 구분이 안 될 정도였다. 수차례의 연기로 진이 빠진 거제 일주의 해로답사가 오늘도 날씨 때문.. 통영/이순신 2017.10.17
(현충사 답사기 응모)걸어서 만난 충무공은 나의 머리에, 나의 가슴에, 나의 두 발에 각인 되었다. 걸어서 만난 충무공은 나의 머리에, 나의 가슴에, 나의 두 발에 각인 되었다. 경남 통영시 김용재 따뜻한 봄날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하고 깊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전년도 경남의 백의종군로 답사를 완료하고 충무공의 해전로 답사를 계획 했었다. 여의치 않은 해상답사를 뒤로 .. 통영/이순신 2017.10.08
톡톡 이순신 가덕 웅천지구 전적지 답사 문화원에서 실시하는 톡톡 이순신은 전반기에는 회사일 때문에 거의 참여를 못했다. 하반기에 처음으로 가덕, 웅천 지역의 전적지를 탐방 한다하여 따라 나섰다. 가덕도 천성진성은 올 초 이배사에서 신년회를 했던 곳이다. 임진왜란의 발발을 최초 보고한 봉수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이 .. 통영/이순신 2017.09.17
정유재란 특별전(진주 박물관) 01 정유재란 이전 강화 협상과 조선의 대응 1593년 1월 평양성 전투에서 승리한 명군은 벽제관 전투 패전이후 협상으로 일본군을 철수시키려 하였다. 조선 수군과 의병의 활약, 명군의 참전 등으로 수세에 몰린 일본군도 오늘날의 서울에서 부산 등 경상도의 남해안으로 후퇴 하였다. 이후 .. 통영/이순신 2017.07.28
海月滿船 是夕, 海月滿船, 獨坐轉展, 百憂攻中, 寢不能寐, 鷄鳴假寐 시석, 해월만선, 독좌전전, 백우공중, 침불능매, 계명가매 이날 저녁 바다의 달빛이 배에 가득하고 혼로 앉아 이리저리 뒤척이니 온갖 근심이 가슴에 치밀었다. 자려해도 잠을 이루지 못하고 닭이 울고서야 선잠이 들었다. 癸巳日.. 통영/이순신 2017.07.19
난중일기 필사 114일~ 133일차 114일~115일차 아래 내용은 임진년 기록으로 보인다. (편집자 주) 9월 1일 사경초(새벽 1시 경)에 배를 출발시켜 몰운대에 도착하니, 경상 우수사가 먼저 그가 거느린 여러장수들을 데리고 다대포 앞바다로 돌아왔다. 우수사 이억기, 경상우수사 원균과 함께 약속하고 절영도 남쪽 바다에 이.. 통영/이순신 2017.07.02
정유재란 시기 조선수군과 충무공 이순신 2017 충무공 학술 세미나 정유재란 시기 조선 수군과 충무공 이순신 일시: 2017. 6. 2(금) 13:30~ 17:30 장소: 해군사관학교 웅포강당 주최: 해군사관학교, 국립 진주 박물관 주관: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난 지 7주갑 되는 2017년에 정유재란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살펴보는 .. 통영/이순신 2017.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