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111

도산서원(陶山書院) (학파 중심의 서원)

도산서원(陶山書院) (학파 중심의 서원) 역사적 가치 도산서원은 1574년에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자 그의 제자와 지역 유학자들이 건립한 성리학 교육 시설이다. 1575년(선조 8)에 왕이 현판을 내려 주어 사액서원(賜額書院)이 되었다. 도산(陶山)은 서원이 있는 산 이름이다. 서원은 앞으로 낙동강이 흐르는 산자락에서 남쪽을 바라보고 있다. 강 건너에 시사단이 있는데, 1792년에 정조가 이황을 추모해 서원 앞 소나무 숲에서 치른 과거 시험을 기념하는 장소다. 주요 특징 서원 앞부분에 도산서당과 농운정사가 있다. 도산서당은 1561년에 이황이 구상해 지은 소박한 건물로, 이곳에서 제자들을 가르치며 학문에 몰두했다. 다음 해에 지은 농운정사에서는 제자들이 거처하며 공부를 했다. 그..

개인/학교 2022.01.16

紹修書院(한국 최초의 서원)

소수서원(紹修書院)(한국 최초의 서원) 통영충렬사와 함께 대원군 서원 훼철 때 남은 곳을 검색하니 유네스코에 등록된 9대 서원이 있었다. 그들 서원 대부분에 심원록이 남아있었다. 몇 곳은 직접 친견을 했으며 서원의 시조 격이 소수서원을 찾았다. 소수서원의 전신은 백운동 서원이다. 백운동 서원은 주세붕(1495~1554)이 풍기군수로 있을 때 세웠다. 그가 46세 되던 1541년(중종 36)에 풍기군수로 부임하여 지방을 돌아보니 순흥 향교도 관리가 되지 않았다. 중국으로부터 주자학을 들여온 안향이 공부하던 숙수사(宿水寺)도 폐사가 되어 방치되어 있어 안향을 모실 공간과 향교를 중흥하고자 했으나 지역 여론은 비판적이었다. 그러나 주세붕은 주희의 백록동 서원을 언급하며 주자학 교육의 필요성을 호소하였다. 이에..

카테고리 없음 2022.01.16

현충사, 이순신 묘소 위충암, 게바위를 답사하다

현충사 답사기 나의 관심은 통영충렬사의 심원록이다. 이순신을 모신 사당에 심원록이 있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여수 충민사, 남해 충렬사, 정읍 유애사를 둘러보았으며 마지막 남은 곳이 아산 현충사다. 과연 이곳에는 심원록이 남아있을까? 이곳도 1868년 훼철된 곳이기 때문에 큰 기대는 없었다. 경상우수사님과 약속되어 함께 현충사를 갔다. 학예사를 만나기 위하여 사무실로 갔다. 마침 우수사님이 아는 학예실장이 계셔 온 목적을 이야기하니 현충사에 심원록이 있는데 담당자가 코로나 밀접 접촉자라 자가 격리 중이라 열람이 불가했다. 심원록이 있다는 사실만으로 큰 소득이다. 혹시 열람을 할 수 있다면 방법을 알려 달라고 하고 나왔다. 전시장을 둘러보고 구 현충사를 참배하고 사액 때 내려준 “顯忠祠” 현판을 살폈다. 이어..

통영/이순신 2022.01.15

돈암서원(遯巖書院)

돈암서원(遯巖書院)(예학을 실천한 서원) 돈암서원은 1634년(인조12) 지역 유생들이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서원이다. 원래는 근처 임리 숲 말에 있었는데 홍수로 물에 잠겨 1880년(고종 17년)에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유네스코 등록 심사 때 이전한 것 때문에 논쟁이 있었다고 한다. 1660년(현종 1년)에 왕이 ‘돈암서원’(遯巖書院)이라는 사액(賜額)을 내려 사액서원(賜額書院)이 되었다. 돈암은 인근 바위의 이름을 말한다. 사당에는 김장생을 중심으로 김 집, 송준길, 송시열의 위패를 모시고 향사를 지내고 있다. 김장생은 17세기 전반에 예학(禮學)을 집대성하여 사회에 보급하고 그의 제자들은 돈암서원을 중심으로 예학에 관한 연구와 논의를 활..

개인/학교 2022.01.09

유애사(遺愛詞)

유애사(遺愛詞) 지정종별 전라북도 기념물 제18호 지정일 1974년 9월 24일 소재지 정읍시 344-1(진산 1길 29-5) 충무공 이순신(忠武公 李舜臣)이 정읍현감으로 1589년(선조22)에 부임하였다가 2년 뒤인 1591년(선조24) 3월에 전라좌수사(全羅左水使)로 이임(任)하였으니, 정읍과는 깊은 인연이 있다. 그 뒤 임진왜란이 지난 후, 1681년(숙종)에 유림(林)들이 공(公)의 유덕(道德)을 추모하여 사우(宇)를 여아동(지금의 과교동)에 창건하였다. 그 뒤 9년 후 1689년 숙종 때에 지금의 위치로 옮기니, 진산동이다. 영조 때 유애사라는 사액(賜額: 왕이 현판을 주는 것)을 내렸다. 그 날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유애는 유애재민(道愛在民)에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1798년(정조22) 집..

개인/학교 2022.01.08